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입문 python 짝수는 싫어요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13 참고 블로그: https://jinmay.github.io/2020/05/28/python/python-list-comprehension-with-if-statement/ if는 리스트 컴프리헨션 뒤에, if + else는 앞에 작성) def solution(n): return [x for x in range(n+1) if x % 2 == 1] # 다른 풀이 range에서 끝냄 def solution(n): return [i for i in range(1, n+1, 2)] 편지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..
점의 위치 구하기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41 def solution(dot): x = dot[0] y = dot[1] if x>0 and y>0: return 1 elif x>0 and y
어제에 이은 파이썬 문법 정리 파이썬 코드 가이드 문서 PEP 8 https://peps.python.org/pep-0008/ 들여쓰기 공백은 4칸으로 한다 최대 라인 길이: 모든 줄을 79자로 제한한다 연산자 줄바꿈할때 들여쓰기한다 연산자는 앞 뒤로 띄어쓰기를 하는데 *은 붙여쓴다 어렵다면 강제로 적용시켜주는 방법도 있다 (python 린트 툴: Pylint 등) =은 할당연산, ==은 비교연산 절대 헷갈리지 말 것!!! for문 리스트 길이만큼 반복도 가능 mail =["12","사과","배","참외",1,2,3,4,5] for i in mail: print("hi") range() range([초기치, ] 최종치 [, 증가치]) => [ ]안의 내용은 생략이 가능하다. enumerate함수 rang..
오늘부터 조은 강사님과 함께 실시간 강의로 진행되었다. 실시간 강의가 교시제로 운영되서 마음이 더 편하고 인강보다 집중도 더 잘된다. 이제야 줌 강의 시스템과 디스코드에 적응했다. 이번주도 화이팅!! 데이터 사이언스 개요 탐색적데이터분석 (EDA Exploratory Data Analysis) - 존 튜키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(ETL, ELT) https://www.striim.com/blog/etl-vs-elt-differences/ ETL (Extract -> Transformation -> Loading) 데이터를 추출해서 처리, 가공을 통해 변환해서 저장하는 기술 Data Warehouse(DW)에서 꺼내서 data analysis에 활용 ELT (Extract -> Loading -> Tra..
TIL 3일차 - python 심화 테킷 강의 오늘은 파이썬 문법 심화 강의를 들었다. 처음보는 용어도 많고 프로그램 만들기 수준이 급 상승하여 이해하기 힘들었다. 오후엔 영혼을 겨우 붙잡고 있었다. 다행인건(?) 어떤 부분이 어려웠는지 회고 시간에 팀원분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'이 부분이 나만 어려웠던 건 아니구나'하고 위안이 되기도 했다. 일주일이 지나고 밀린 TIL을 정리하면서 되돌아보니 이 날의 난이도는 낯선 용어에 빨리 익숙해지고, 가볍게라도 이해시키기 위한 큰 그림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. 예를 들어 API도 처음 들어봤지만 이 날 경험해봤기 때문에, 다음 강의에서 용어가 나왔을 때 빨리 이해하고, 용도를 짐작할 수 있었다. 흑 앞으로도 커리큘럼에 충실해야지 웹 크롤링 실습 < 포털사이트 실시간..
1일차 - 두근두근 첫 개강날 첫날이라 OT부터 각종 안내사항, 팀 생성 등 많은 정보가 쏟아져서 정신없이 진행되었다. 행정적으로 hrd net에서 요구하는 인증도 많고! 복잡했지만, 끝까지 잘 해내 봐야지!! 첫 주 3일 간은 파이썬 기초 인강을 듣는 것으로 진행되었다. 맨날 파이썬을 배우려고 할때마다 기초 문법만 깔짝거리고 진도를 못나갔는데, 줌 켜놓고 강제로 공부하니까 열심히 집중해서 듣게 된다. 1일차: 일단 만드는 파이썬 이두희님 강의! 강의력이 진짜 좋으셨다. 코드의 ()를 마트로시카 인형에 비유한 것이 이해가 잘되고, ()의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작성하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것도 알게되었다. 첫 시작을 프로그램 만드는 것으로 접근해서 재밌게 배울 수 있었다. 멋사 테킷 강의의 가장 좋..